#코인칼럼
미국-사우디 간 '페트로달러 협정 만료'는 결국 "크립토 경제 블록화"의 신호탄이다ㄷㄷ
이번 사태를 퀸시호 갑판 회동, 브레튼우즈 체제, 닉슨 쇼크 중 어디서부터 썰을 풀어야 겁나 고민하다가 그냥 국가별로 정리하기로 함
< 중국 >
- 미국 대통령이 누가 되어도 주구장창 주적이 될 국가임
- 디지털 위안화로 미 달러 패권을 갈아엎으려고 함
- 이에 글로벌 CBDC플랫폼인 mBridge를 출범함(동남아, 중동 등 참여)
< 러시아 >
-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미국 주도로 루블화를 SWIFT 결제망에서 퇴출 등 강력 제재 당함
- 제재 이후 러시아산 원유를 루블화 외에 중국 위안환, 인도 루피, UAE 다르함 등으로 판매함
- 현재 디지털 루블 결제 시스템을 추진함(남미 진출 예정)
< 사우디 >
- 반정부 사우디 언론인의 암살 배후로 사우디 정부가 제기되자, 인권을 중시하는 바이든 미 정부와 멀어짐
- 이 틈을 중국이 파고들어서 상호 간 무역 대금을 위안화로 도입하고 위안화로 원유 결제 논의중
- 페트로달러 협정이 딱 만료될 때쯤 중국의 mBridge에 전격 합류함
이 국가별 정리를 한 마디로 줄이면 "미국의 주적인 중국과 러시아가, 중동 내 친미국가 사우디와 전례없는 밀착을 하고 있고 여기에 디지털 자산의 역할이 있다"임
내 칼럼을 꾸준히 읽어온 분들이 아니라면 이게 뭔 ㄱ소리인가 하겠지만, 모든 퍼즐을 잘 끼워맞췄고 잘 이해했다면
"비트코인이 서방 뿐 아니라 BRICS에서도 전략 자산으로 부각되는건 시간문제"라는걸 캐치하셨을 것임
"어라, 저번 칼럼을 봤고 그래서 중국과 러시아가 비트코인을 국가적 전략 자산으로 간주한 것까진 알겠는데, 갑자기 사우디는 왜 끼워맞추는거임?"이라고 궁금해 할수 있음
그 질문에 대해 '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이 BTC 현물 ETF 성공 출시 이후 빈살만 왕세자와 직접 교류한 덕분에 무려 9,250억 달러를 운용하는 사우디 국부펀드PIF의 지원을 받았다'라고 답변하겠음. 참고로 그 지원을 받고 난 직후 블랙록은 언론에 국부펀드가 수개월 내 BTC 현물 ETF에 진입할거라고 공표함ㄷㄷ
즉, 초강대국인 미국도, 이를 견제하려는 중국과 러시아도, 그리고 이들 중간의 돈 많은 사우디와 UAE도 각자도생하기위해 금 외에 새로운 대안자산인 비트코인을 눈여겨 보고 있다는 것임
여튼 이번 칼럼은 너무나도 많은 국가와 역사, 그리고 이해관계를 함축시켜서 행간을 읽기가 어려울 수 있겠지만, 이런 복잡한 글로벌 퍼즐판에 “비트코인이 명백히 전략적 자산으로 부각되고있고 국가차원에서 중요하게 다루지 않으면 경제적 주권이 약화될 것“이라는 게 나만의 결론
(+글로벌 전략 자산인 비트코인 외의 알트코인에 대한 생각 등)
👉더보기